728x90
Labels
- 라벨은 흔히 SNS, 유튜브/블로그에서 볼 수 있는 태그, 키워드와 비슷한 역할이라 볼 수 잇다.
- 각 객체에 속성을 부여해 공통된 속성을 가진 객체끼리 모아 관리를 하기 위한 용도이다.
Labels 는 yaml 파일 작성 시 지정할 수 있으며 갯수는 제한이 없다. 원하는 만큼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지정하여 생성한 객체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호출할 수 있다.
# kubectl get pods --selector app=App1 => app=App1 를 label 로 가진 pod 출력
이러한 Labels는 Replicaset과 Service 에서, 지정한 속성의 파드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정할 때 많이 사용된다.
※ Annotation
- 주석의 의미이다. Labels, Selector는 그룹과 객체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면, Annotation은 정보를 기록하는 목적이다.
- 이름, 버전, 정보와 같은 세부정보를 간단히 기록할 때 사용한다.
반응형
'IT > 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준비과정 - Scheduling (4) / Node selectors, Node Affinity (1) | 2023.05.14 |
---|---|
CKA 준비과정 - Scheduling (3) / Taints and Tolerations (1) | 2023.05.14 |
CKA 준비과정 - Scheduling (1) (0) | 2023.05.13 |
CKA 준비과정 - Kubernetes 개념 (8) / Imperative vs Declarative (0) | 2023.05.09 |
CKA 준비과정 - Kubernetes 개념 (7) / Namespaces (0)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