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4

CKA 준비과정 - Kubernetes 개념 (1) / 2023.04.16

본 학습 정리는 CKA 자격증이라면 모두들 알고 계시는 강의를 토대로 합니다.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Practice Exam Tests | Udemy 위 강의 과정을 토대로, 개인 학습을 진행하기 위해 포스팅을 진행하며 정리 내용 중 오류가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일 참고하시는 분께서 오류를 발견하셨다면 댓글로 정정해주신다면 감사하게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Cluster Architecture 쿠버네티스 아키텍처는 크게 Master 노드 / Worker 노드로 구분된다. Master Node 구성 요소 : ETCD Cluster, kube-apiserver, Kube Controller Manager, kube-scheduler Worker ..

IT/CKA 2023.04.16

[NAVER Cloud Platform] VOD Station 서비스 맛보기

VOD Station은 네이버 클라우드에서도 이용률이 상당히 높은 상품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원본 동영상을 자동으로 인코딩하여 다양한 환경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 가이드를 따라, 간단하게 실습해보며 어떤 서비스인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지 도움이 될 수 있는 포스팅을 작성해보겠습니다. 1. 상품 개요 / 사용 목적 자세한 사항은 상품 소개 페이지를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https://www.ncloud.com/product/media/newVodStation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

CDN / GRM 정리 및 간단 실습

CDN 서비스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의 정리를 참고 https://infra-for-prime.tistory.com/2 [NAVER Cloud] CDN+를 사용하여 웹 서버 배포하기 CDN+ 서비스를 사용하여, 빠르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작해봅니다. 실습에 앞서, CD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CDN? CDN (Contect Delivery Network) - 지리적 제약 없이 전 세계 사용 infra-for-prime.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CDN과 GRM에 대해 정리해보고 실습을 통해 비교해본다. GRM(Global Route Manager) - DNS 기반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로드밸런싱하는 GSLB 서비스 * GSLB(Globa..

[NAVER Cloud] CDN+를 사용하여 웹 서버 배포하기

CDN+ 서비스를 사용하여, 빠르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작해봅니다. 실습에 앞서, CD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CDN? CDN (Contect Delivery Network) - 지리적 제약 없이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 - 서버와 사용자 간의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컨텐츠 로딩 시간을 최소화 - 각 지역에 캐시 서버를 분산 배치하여, 근접한 사용자의 요청이 원본 서버가 아닌 캐시 서버가 컨텐츠를 전달함으로써 지연 시간을 줄임 => 그렇다면 위 기술은 어디에 주로 쓰이는가? CDN의 사용처 -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등의 대용량 컨텐츠 제공 시 => 대표적인 사례로 누구나 잘 아는 Netflix가 있다. 반면, CDN 사용을 권고하지 않는 케이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