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4

2024. 3월 후쿠오카 여행기 (2)

2일차는 아침일찍, 하카타 역에서 고쿠라 역으로 가는 특급 소닉을 타는 것으로 시작한다. 대략적인 동선은 아래와 같다. 하카타 역에서 니마이킷푸(왕복권)을 각자 사서 이동한다. 무조건 니마이킷푸로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근데.. 이거 구매할땐 발권기가 한글 지원을 안해서 조금 애먹었다. 파파고 없었으면 또 쉽지 않을뻔;; 후쿠오카 시내를 벗어나면, 탁 트인 시골 광경이다. 특급 소닉은 배차 간격이 20분 가량 정도 되어서 만약 시간이 빈다면 하카타 역 안에서 적당히 구경 다니다가 타도 좋다고 생각한다. 내가 탄 소닉은 하카타 -> 고쿠라 -> 유후인을 가로지르는 후쿠오카를 전반적으로 도는 열차였다. 역무원에게 물어보니 고쿠라 행 특급을 타는 것보단 요 열차가 더 빠르다고 해서 일부러 이 열차로 탔다. ..

Life/우당쾅 2024.03.06

2024. 3월 후쿠오카 여행기 (1)

올해 1월, 친구가 다같이 모여 일본 다시 한 번 가자는 얘기를 꺼냈다. 일본은 19년 1월에 도쿄를 갔던 게 마지막으로, 같은 멤버의 친구들이었다. 5년동안 해외여행 한번 안 가며 다녔는데, 얘기가 나오니 홀린듯이 이끌려 계획을 잡고 비행기를 예약했다. 비록 중간에 친구 1명 빠지긴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말 재미있게 잘 다녀왔다. 계획은 전반적으로 내가 짜고 동선도 내가 계획했다. 최종 정산은 친구 한명이 계산에 능해서 전면적으로 맡겨서 편했다. 1일차 일정 후쿠오카 공항 > 캐널시티 하카타 > 오호리 공원 > 후쿠오카 타워 > 하카타 역 > 숙소 공항에 도착하고 나서는 공항 셔틀버스를 타고 하카타 역으로 이동했다. 하카타 역의 관광안내소에서 지하철 1일권을 구매했는데, 어디서 구매하는지 몰라서 조금 ..

Life/우당쾅 2024.03.05

24년 목표 정하기

지금은 1월이 많이 지나가고 있지만, 천천히 퇴고하며 쓰다보니 시간이 이렇게 되어버렸다. 23년 돌아보기 2022년을 공부에 집중하였다면 2023년은 공부는 조금 내려두고 외적으로 집중한 해였다. 물론 아예 학습을 놔버리면 다시 해야될 때 하기 힘들어질 것 같아 완전 놓지는 않았지만 이 부분은 조금 덜 신경 썼다고 생각한다. 23년의 나는 주로 대외 활동, 사람들 많이 만나기와 삶 개선에 집중했다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는 꽤 괜찮게 이루었다고 본다. 여기저기 모임도 나가보면서 다양한 경험도 해봤고, 새로운 사람들도 만나보며 시야를 조금 넓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연말에 이루어진 내집 마련(10년치 계획)도 어찌저찌 잘 마무리가 되었다. 첫 직장에도 이젠 완전히 적응되었다고 나름(?) 자부한다. 23년에..

Life/우당쾅 2024.01.24

레노버 리전 Y700 2세대 2023 짧은 후기

요즘 핫한 그 태블릿 PC, 레노버 리전 Y700을 11월 초에 구매 걸어뒀었다. 이제와보니 역대급 핫딜에 제대로 탑승했다는 생각이다. 유튜버들 입소문 타면서 지금은 가격 확 뛴 걸로 보인다. 당시 11월 4일 티몬에서 315,900 원에 구매했다. 역대 최저가는 28만원, 내가 구매한 315가 두번째 핫딜로 알고있다. 배송은 3주 뒤인 22일에 도착했다. 진짜 잘 샀다고 생각한다. 온 사방에서 극찬하는 데는 역시 이유가 있다. 근데.. 요즘 풀리는 40만원대 가격에는 게이밍용이 아니라면 추천하고 싶지 않다. 다른 대체재가 많다. 30중반 정도에 구한다면 그냥 전천후 태블릿으로 써도 될듯 이 후기 보려고 들어온 분들은.. 어차피 스펙이나 장점같은거 많이 입소문 듣고 왔을 거니까 내가 느낀 별로였던 점과 ..

Life/IT 기기 2023.12.01

사회초년생의 청년 버팀목 대출일기

최근 공부관련 포스팅이 뜸하고, 내용도 부실하게 작성을 했었다. 그 이유인즉슨,, 신경이 다른 곳으로 쏠려 있었기 때문이다. 이하 내용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만하게 정리를 해서 작성하기보단, 그냥 내 경험을 나열하는 일기같은 느낌으로 써 보려 한다. 부동산 잘 모르던 초년생이 갑자기 아파트를 계약하고, 대출을 받고 이리저리 알아보고 뛰댕기려니 정신이 매우 사나웠다. 부모님이 내 이름으로 신축 아파트 하나를 계약하자고 하는 것이 일이 발단이었다. 내가 계약한 아파트는 매매나 전세, 청약으로 들어가는게 아닌 "민간임대" 아파트 였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자세히 작성해보겠다. 신축 아파트에, 위치도 괜찮고 나쁘지 않아 보인데다 매물이 빠르게 없어지고 있는 추세여서 급한 나머지 도장을 찍고 생각해버리게 됐..

Life/우당쾅 2023.10.12

CKA 실습 - TroubleShooting

Controlplane 트러블슈팅 먼저 리소스를 조회해본다.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deploy 의 app 리소스가 Ready 상태이지 못한 것을 확인한다. 파드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Worker node 트러블슈팅 node01 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 node01로 접속하여 확인한다. kubelet 이 dead 상태임을 확인, 재시작한 뒤 상태를 다시 확인해본다. 이제 정상적으로 Ready 상태임을 확인 다시 한번 node01이 NotReady 상태이다. 트러블 슈팅을 진행한다. 노드에 접속해보니 kubelet이 active 상태가 아니다. journalctl 명령어로 로그를 확인해본다. 인증 쪽에 문제가 있다고 추정, kubelet의 config 를 확인한다. ..

IT/CKA 2023.09.21

CKA 실습 - Cluster Installation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에 kubeadm과 kubelet을 설치한다. 설치 방법은 공식 가이드 문서를 따른다. Container Runtimes | Kubernetes Container Runtimes Note: Dockershim has been removed from the Kubernetes project as of release 1.24. Read the Dockershim Removal FAQ for further details. You need to install a container runtime into each node in the cluster so that Pods can run there. This page outlines what kubernetes.io 각 노드 모두 설정을 마치..

IT/CKA 2023.09.19

CKA 실습 - Networking

Explore Environment 노드의 세부적인 사항의 조회를 원한다면 -o wide 옵션을 사용한다. k get nodes -o wide 내부 / 외부 IP 를 조회할 수 있다. 노드의 MAC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노드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 마스터 노드의 경우 호스트와 공유하므로 호스트의 MAC 주소를 확인하면 된다. 마스터 노드가 사용하는 Default Gateway는, 호스트의 설정을 따라간다. 따라서 ip route로 조회한다. 노드 내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포트 등의 정보를 조회할때는 netstat 을 사용한다. netstat에는 옵션이 다양하기 때문에, --help 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kube-scheduler 가 사용하는 포트를 조회한다. 이 때, 옵션을 활용하는 것이 ..

IT/CKA 2023.09.11

CKA 실습 - Storage

Persistent Volume Claims 파드의 로그 저장 경로를 설정해본다. pod를 kubectl 로 edit 하여 로그를 저장할 경로를 추가한다. 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건에 따라 Persistent Volume 을 생성한다. 쿠버네티스의 공식 문서를 참고한다. Persistent Volumes | Kubernetes Persistent Volumes This document describes persistent volumes in Kubernetes. Familiarity with volumes is suggested. Introduction Managing storage is a distinct problem from managing compute instances. The Persisten..

IT/CKA 2023.09.07

CKA 실습 - Security

ServiceAccount service account 생성하기 deployment 수정하여 serviceaccount 반영하기 dashboard-sa 서비스 계정을 deployment에 추가하여 해당 ServiceAccount가 deployment에 적용되도록 한다. 먼저 수정을 위해 yaml 파일을 생성한다. vi 편집기를 열어 내부를 수정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deployment 가 생성할 파드에 지정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드 쪽에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 항목 추가 후 apply 로 적용한다. Security Context SecurityContext 는 파드의 보안 설정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파드의 설정에 ScurityContext 설정을 추가해본다. 조건은 다음과같다. ubuntu-slee..

IT/CKA 2023.09.06
반응형